(재)단문장학재단 활성화를 위한 5개년계획(案)
구분 | 이사장 | 고문 | 재단이사 | 재단위원 | 일반회원 |
T/O | 1 | 10 | 10 | 20 | 全동문대상 |
분담금 | 신규(1000만원)
유임(120만원) | 50만원 | 신규(1000만원) 유임(120만원) | 120만원 | 3만원
(금년신설) |
주)
1. 직책별 엄정한 분담금 집행으로 장학기금 부족현상 초래 억제
2. 금년도 신설된 全동문대상 회비는 자발적 참여 기준임
장학재단의 현재까지 재원마련, 장학생 선발과정, 단문장학금에 대한 재학생 인식, 장학재단의 교내 위상 등에 대한 현상분석 과정을 거쳐
장학재단운영의 효율성제고를 위해 향후 5년간 개선방안마련, 현업적용, 확산, 심화 등 4단계로 구분하여 단계별로 추진과제를 설정하였음.
◆ | 차년도인 2020년의 경우 48대총동창회 출범에 맞춰 안정적 장학재원 확보가 지속 가능한 장학재단이 될 수 있도록 위원과 회원제를 추가로 신설하는 등 기구를 개편하고, 현재까지 운영방식에 대한 검토 및 단문 장학금에 대한 재학생 인식을 토대로한 개선안 수립이 1차년도 목표임 단, 금년도 장학사업은 전년과 동일한 조건으로 일단 집행키로 함 |
◆ | 2021년도는 마련된 개선안을 현업에 적용하는 한해로서, 모두가 받고 싶은 장학금이 되기 위해 수혜자는 20명에서 5명선으로 줄이고, 지급 금액은 최소 4백만원으로 증액시키며, 개선효과에 대한 고객의 소리를 주기적인 들어보는 등 반응조사를 통해 적기에 개선책을 마련토록 함 |
◆ | 2022년도 역시 2021년과 동일한 방식으로 운영을 하면서 장학재단에 대한 지속적인 의견수렴을 통해 보완책을 마련함과 동시에 안정적인 재원확보를 위한 방안마련에 보다 치중하고자 함 |
◆ | 2023년과 24년도는 장학재단이 운영이 완전히 정착되어 모든 면에서 효율적인 운영이 이루어지는 심화단계로서 그간 마련된 기금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수혜자는 10명內外로 늘리고, 장학금 또한 학과별로 한학기 학비를 보전해줄 수 있도록 증액하며 그간 높아진 단문장학회 위상을 유지를 위해 취업지원강화, 신규장학 사업 발굴, 대내외 홍보활동 등을 지속적으로 실시토록 함 |
년도 | 단계 | 단계별 목표 및 주요실천과제 |
2020 | 개선방안수립 | -장학재단 기구개편, 재단운영에 대한 실태 분석, 장학 재단에 바라는 재학생 니즈 파악 등 현상 분석 -재단목표설정, 현실과 목표간 gap 분석, 개선(案) 마련 |
2021 | 현업적용 | -수혜자 줄이고(5명선), 지급장학금 증액(최소4백만원) -항목별 단계별 개선(안) 실시, 개선효과 VOC청취 -항목별 개선효과 분석 및 미흡한 점에 대한 보완책 마련 |
2020 | 확산 | -2단계와 동일방식으로 추진하며, 주기적으로 의견 청취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장학기금 조달방안 수립 |
2023 | 심화 | -수혜자 늘리고(10명선) 지급장학금 증액(1학기납부금) -장학생대상 적극적인 취업지원으로 장학생 취업률 제고 -높아진 장학회 위상유지를 위한 아이템 발굴 활동 지속 |
2024 |